에노르 IT정보

[트랜드] 25년 4월 1주차 IT 소식 본문

트랜드

[트랜드] 25년 4월 1주차 IT 소식

AENORDESIGN 2025. 4. 8. 19:00
반응형

 

2025년 4월 1주차  IT 소식 정리!

 

안녕하세요. 에노르입니다:)

 

이번 한 주는 진짜 IT계가 시끌시끌했어요.

닌텐도 콘솔 발표에, 삼성은 출시 미뤄지고,

트럼프는 관세 던지고... 정신없죠?


그래서 한눈에 쉽게 쭉 정리해드릴게요!

 


 

 

닌텐도 스위치2, 드디어 등장! 그런데 미국 출시가 불확실?

 

게이머들의 마음을 간질이던 바로 그 소식! 닌텐도가 차세대 콘솔 닌텐도 스위치2를 4월 2일 공개했습니다.

발표는 일본에서 진행됐고, 스트리밍 생중계를 통해 전 세계 팬들과 소통했죠.

 

스펙은 확실히 업그레이드됐습니다. 4K 해상도 지원, 최대 120fps 프레임, 새로운 OLED 디스플레이 탑재, 기본 저장공간 256GB 등. 심지어 무선 통신 속도도 향상됐고요.

 

함께 발표된 게임들도 대박이었어요. ‘마리오 카트 월드’는 전작보다 훨씬 더 커진 월드맵과 커스터마이징 요소가 들어갔고, ‘동키콩 바난자’는 오픈월드로 리뉴얼되어 기대감을 높였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하나 생겼습니다.

 

같은 날, 트럼프 전 대통령이 중국·베트남 등 아시아권 부품에 대한 고율 관세 정책을 발표한 거죠.

스위치2의 핵심 부품 대부분이 해당 국가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미국 출시 일정과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된 겁니다.

 

닌텐도 미국 법인에서는 “관세가 가격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지만,

미국 내 사전 예약 일정은 일시 중단됐습니다. 상황 봐서 출시가 연기될 수도 있어요.

 

닌텐도, 미국 내 스위치2 사전 예약 연기…관세 우려

닌텐도가 스위치 후속 기기 ‘스위치2’의 미국 내 사전 예약 일정을 관세 문제로 인해 연기했다. 미국 게임 매체 비디오게임크로니클은 7일(현지시간) 이 같은 내용을 보도했다.닌텐도는 미국

zdnet.co.kr

 


 

트럼프의 관세 폭탄, 글로벌 IT 생태계 흔든다

 

닌텐도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4월 초, 미국이 중국과 아시아 국가에 대한

수입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며 34%~60%에 이르는 고율 관세를 전자부품과 기술기기에 부과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발표 직후 미국 증시는 즉각 반응했습니다.

S&P500지수는 하락세로 돌아섰고, 특히 IT 업종에서는 시가총액 약 6조 달러가 증발하는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해당 관세는 단순히 완제품에만 적용되는 게 아닙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배터리, 디스플레이, 반도체 칩 등 핵심 부품 대부분이 관세 대상입니다.

그 말은? 애플, 삼성, 델, HP, 심지어 테슬라까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거죠..

 

이번 정책은 단기적으로는 ‘미국 보호주의’로 보일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글로벌 공급망을 재편해야 한다는 압박이기도 합니다.

 

AI와 반도체 중심의 기술 경쟁이 본격화되는 2025년, 이런 결정은 IT 산업 전체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어요.

 

 

'트럼프 관세'에 IT 제품 가격 줄인상 우려 - 글로벌이코노믹

미국이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를 대상으로 높은 관세를 부과하자 전 세계 IT 기업들도 비상이 걸렸다. 해외에서 제작되는 스마트폰과 PC, TV, 그래픽카드 등이 관세율이 높은 중국, 베트남 등에서

www.g-enews.com

 


 

삼성 갤럭시 S25 엣지 출시 연기… '완성도' 때문에?

 

4월 말 출시 예정이던 삼성의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 S25 엣지가 출시 연기를 공식 발표했습니다.

새로운 일정은 5월 13일로 알려졌습니다.

 

출시 연기의 주된 이유는 발열 문제입니다. 최신 퀄컴 칩셋을 탑재한 S25 엣지는 발열 제어가 관건이었는데,

삼성의 새로운 쿨링 기술이 아직 안정화되지 않았다는 평가를 받았어요.

 

사실 플래그십 스마트폰은 처음 출시될 때의 '첫 인상'이 중요하죠.

초기 불량, 발열, 배터리 이슈 등이 생기면 브랜드 이미지에 타격이 크기 때문에,

연기하더라도 품질을 잡는 게 장기적으로 더 낫다는 전략입니다.

 

한편, 갤럭시 워치 8 시리즈 관련 정보도 유출되었는데요. 건강 관련 기능이 크게 강화되었다는 점이 눈에 띕니다.

체온 측정, 수면 패턴 분석은 물론 스트레스 지수 분석까지 가능하다고 해요.

배터리도 10%가량 늘어나고, 고속 충전도 가능해질 예정입니다.

 

 

"갤럭시S25 엣지, 5월 이후로 출시 연기"

삼성전자의 초박형 스마트폰 ‘갤럭시S25 엣지’의 출시일이 오는 5월이나 6월로 미뤄질 것이라는 소식이 나왔다고 폰아레나 등 외신들이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이날 유명 IT팁스터 아이스유니

zdnet.co.kr

 


 

마이크로소프트 50주년, AI 코파일럿 대폭 강화

 

마이크로소프트가 창립 50주년을 맞이했어요.

1975년 설립된 이 거대 기술 기업이, 2025년 현재도 여전히 핵심 기술을 주도하고 있다는 사실은 정말 대단하죠.

 

이번 기념 시점에 맞춰, 자사의 AI 어시스턴트인 코파일럿(CoPilot)의 대대적인 업그레이드를 발표했습니다.

  • 문맥 기억 기능 – 이전 대화와 문서 내용을 기억하고 이어서 대응
  • 모바일 카메라 연동 – 카메라로 스캔한 문서나 사진을 자동 분석
  • 엣지 브라우저 통합 – 페이지 요약, 추천 검색어, 개인화된 정보 추천

예전엔 코파일럿이 '있으면 좋은 도구'였다면, 이제는 '없으면 불편한 기본 기능'처럼 되어가고 있어요.

업무 자동화, 문서 작성, 일정 관리 등에서도 큰 도움을 주고 있다는 피드백이 많습니다.

 

MS는 "모든 사람에게 개인 AI를"이라는 비전으로, 앞으로도 코파일럿을 더 많은 플랫폼에 통합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https://www.outsourcing.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1614

 

[AI 뉴스] 챗GPT 넘는다…MS 코파일럿, 생성형 AI 끝판왕 선언 - 아웃소싱타임스

[아웃소싱타임스 김민수 기자] 개인 맞춤형 기능을 대폭 확대한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코파일럿이 생성형 인공지능(AI) 플랫폼 경쟁에 본격적으로 가세하고 있다. 메모리 기능과 카메라 실

www.outsourcing.co.kr

 


 

AMD, ZT 시스템즈 인수… 데이터센터 강화 수순

 

AMD는 4월 초,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인프라 구축 기업인 ZT 시스템즈를 전격 인수했습니다.

ZT 시스템즈는 그동안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에 맞춤형 서버를 공급해온 기업으로,

특히 AI 서버 분야에 특화된 역량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번 인수를 통해 AMD는 자사의 인공지능 가속기 MI300 시리즈와 서버 CPU ‘EPYC’의 생태계를 더 단단히 만들게 됐습니다. 엔비디아에 밀리던 AI 인프라 시장에서 반격을 준비하는 모습이죠.

 

특히 데이터센터용 맞춤형 솔루션, 통합 서버 설계 능력 확보는 단순한 반도체 기업을 넘어선다는 의미도 있습니다.

AMD가 ‘CPU+GPU+서버 인프라’ 삼박자를 갖춘 종합 플랫폼 기업으로 진화하고 있는 거죠.

 

 

AMD, ZT 시스템즈 인수로 AI 시스템 포트폴리오 강화해

AMD가 세계 유수 하이퍼스케일러를 위한 AI 및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를 구축하는 선도 기업인 ZT 시스템즈(ZT Systems)의 인수를 완료했다. AMD는 ZT 시스템즈의 랙 스케일 기반 클라우드 최적화 설

www.elec4.co.kr

 


 

6. Arm, 데이터센터 점유율 50% 시대? 가능성은 충분

 

한때 모바일 CPU의 대명사였던 Arm이 이제는 본격적으로 데이터센터 시장까지 넘보고 있습니다.

Arm의 수석 부사장인 모하메드 아와드는 최근 한 인터뷰에서 "2025년 안에 하이퍼스케일러 데이터센터 출하량 중 Arm CPU 점유율이 50%를 넘을 것"이라 전망했습니다.

 

그 배경엔 AI 시대의 전력 효율성에 대한 관심이 있어요. Arm CPU는 전력당 성능비가 뛰어나고, 소형화에 유리하기 때문에, 전력 소비가 많은 데이터센터에 점점 더 적합해지고 있는 겁니다.

 

이미 아마존 AWS의 Graviton 시리즈, 구글의 Axion 등 자체 Arm 서버 CPU가 성공적으로 자리 잡고 있고,

앞으로 더 많은 클라우드 기업들이 Arm 기반 서버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Arm이 성공한다면, 데이터센터의 절반 이상이 인텔도, AMD도 아닌 Arm 기반이 되는 날이 올 수도 있는 거죠.

시장 판도, 완전히 바뀔 수 있습니다.

 

 

​2025년 상위 하이퍼스케일러 컴퓨팅 50%가 Arm 기반 - e4ds news

Arm은 2025년 상위 하이퍼스케일러에 출하되는 컴퓨팅의 약 50%가 Arm 기반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Arm 네..

www.e4ds.com

 

 

오늘 이렇게 2025년 4월 1주차의 IT 핫이슈를 쭉 정리해봤는데요,
정말 이슈 하나하나가 시장을 흔들 만큼 강력했죠?


다음 주에는 또 어떤 뉴스들이 나올지,

리 예측도 해보면서 기다려보는 재미도 있겠네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공유로 함께해주세요! 💖

728x90
반응형
LIST